이 글에서 다루는 DOOM이란 2016년 출시된 DOOM을 의미합니다.
DOOM은 2016년 출시된 게임입니다. 2023년 기준 8년 된 게임이네요.
출시된 지 오래된 데다가 후속작이 나온 게임이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점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사람들의 관심이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DOOM이 출시되었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뜨거웠습니다.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는 게임이기 때문에 프기니님이 한국어 패치를 제작해 배포하기도 했고, Nexus Mods에도 DOOM 모드들이 활발히 올라왔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아닙니다.
DOOM의 후속작인 DOOM Eternal이 2020년에 나왔으니, DOOM Eternal도 이제 4년이 다 되어가는 셈입니다.
DOOM Eternal에 밀려 사람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난 DOOM은 몇 차례 소규모 업데이트를 받았고, 그 탓에 그동안 사람들이 만든 많은 모드와 패치가 더 이상 적용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2023년 기준으로 DOOM 모딩에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한국어 패치
여전히 프기니님의 한국어 패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physics1114/221295535531
만약 위 한국어 패치가 사라졌을 경우를 대비한 파일입니다.
단 한국어 패치의 특성상, 한국어 패치를 적용하면 온라인 연결이 필요한 모든 게임 모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본 파일의 압축을 해제합니다. base 폴더와 README.txt 파일이 풀립니다.
- 스팀에서 DOOM을 우클릭 한 후, 속성 - 설치된 파일 - 찾아보기를 클릭하여 DOOM 폴더를 엽니다.
- base 폴더로 들어간 후, 해당 파일의 이름을 다음과 같이 변경합니다.
- gameresources.patch (993MB) → gameresources.patch.original
- gameresources.patch.verify (3.16KB) → gameresources.patch.verify.original
- gameresources.pindex (14.6MB) → gameresources.pindex.original
- gameresources.pindex.verify (104B) → gameresources.pindex.verify.original
- 1번에서 압축을 해제한 base 폴더의 내용물을 DOOM 폴더의 base 폴더 안으로 옮깁니다. base 폴더 안에 다음 파일이 모두 있어야 합니다.
- gameresources.patch
- gameresources.patch.original
- gameresources.patch.verify.original
- gameresources.pindex
- gameresources.pindex.original
- gameresources.pindex.verify.original
- 스팀의 DOOM 속성에서 일반 - 시작 옵션에 다음 내용을 입력합니다.
+devMode_enable 1 +devMode_skipCorruptedSaves 1 +com_skipIntroVideo 1
만약 인트로 영상을 보고 싶다면 다음 내용을 입력합니다.+devMode_enable 1 +devMode_skipCorruptedSaves 1
- 상단의 언어를 '중국어 번체'로 변경합니다.
- 게임 실행 후, 설정 - 오디오 - 자막 켜기를 선택하세요.
모드 적용
DOOM에 모드를 적용하기 위해선 반드시 +devMode_enable 1 +devMode_skipCorruptedSaves 1
가 활성화되어야 합니다.
개발자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도전과제 달성이 불가능해지며, 온라인 연결이 필요한 게임 모드 역시 제한되게 됩니다.
+devMode_skipCorruptedSaves 1
가 설정되지 않았을 시 개발자 모드에서 생성한 세이브 파일을 불러올 수 없게 됩니다.
DOOM에 모드를 적용하고 싶다면 다음 안내를 따라 하세요.
모드로더 다운로드
https://github.com/jfmherokiller/DOOMExtract/releases
위 링크에서 DOOMModLoader를 다운로드하세요. 다른 모드로더는 현재 작동하지 않습니다.
만약 위 리포지토리가 사라졌을 경우를 대비한 파일입니다.
압축을 해제하면 나오는 두 파일을 DOOM의 설치 경로에 복사하세요. 각 파일의 경로가 다음과 같아야 합니다.
<DOOM 설치 경로>/DOOMx64.exe
<DOOM 설치 경로>/DOOMx64vk.exe
<DOOM 설치 경로>/DOOMModLoader.exe
<DOOM 설치 경로>/ICSharpCode.SharpZipLib.dll
이후, DOOM 설치 경로에 mods
폴더를 만드세요.
모드 다운로드
Nexus Mods 등에서 원하는 모드를 다운로드합니다.
이때, 해당 모드가 최신 DOOM 버전을 지원하는지 잘 확인하세요. 현재 최신 둠 버전은 6.66 버전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다음은 제가 추천하는 모드 몇 가지입니다.
- New Game Plus Customizer
DOOM은 새 게임+를 지원하지 않는데, 이를 어느 정도 대신하기 위해 새 게임을 시작할 때 어느 무기가 주어질 것인지 사전 설정을 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 DOOMFX
각종 무기의 파티클 효과와 사운드를 조금 더 이쁘게 변경합니다. - Viewmodel FOV Mod - 2016 Edition
무기의 FOV를 조절해 무기의 더 많은 부분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합니다.
다운로드한 모드 ZIP 파일을 아까 만든 mods
폴더에 옮겨 넣은 후, DOOM을 실행할 때 DOOMModLoader.exe
를 대신 실행하면 됩니다.
콘솔 명령어 잠금 해제하기
출시 버전 DOOM에는 여러 유용한 콘솔 명령어가 잠금 처리되어 사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만약 `
키를 눌러 콘솔 명령어를 사용코자 한다면, 콘솔 명령어의 잠금을 해제해야 합니다.
https://www.moddb.com/games/doom-4/downloads/doomlegacymod-v201901
위 링크를 눌러 DoomLegacyMod를 다운로드합니다.
만약 위 링크가 사라졌을 경우를 대비한 파일입니다.
다운로드한 ZIP 파일의 압축을 해제했을 때 나온 dinput8.dll
을 DOOM 설치 경로에 복사합니다. 다음과 같은 모습으로 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DOOM 설치 경로>/DOOMx64.exe
<DOOM 설치 경로>/DOOMx64vk.exe
<DOOM 설치 경로>/DOOMModLoader.exe
(모드로더 설치 시)<DOOM 설치 경로>/dinput8.dll
이제 DOOM을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콘솔 명령어의 잠금이 해제됩니다.
다음은 몇 가지 유용한 콘솔 명령어입니다. 콘솔 명령어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god
혹은infiniteHealth
플레이어를 무적으로 만들어줍니다.god
은 플레이어의 피격 판정을 완전히 제거합니다.infiniteHealth
는 플레이어의 피격 판정은 유지하되, 플레이어의 체력이 감소하지 않도록 합니다.noclip
다른 게임에서 볼 수 있듯이, 벽을 통과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cvarAdd g_infiniteAmmo 1
모든 무기의 탄약을 무한으로 설정합니다.cvarAdd g_infiniteThrowItems 1
수류탄 등의 던질 수 있는 아이템을 쿨타임 제한 없이 무한정 사용할 수 있습니다.cvarAdd pm_allowInfiniteDoubleJumps 1
더블 점프를 무한정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업그레이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콘솔 명령어는 맵이 바뀌거나 컷신이 나올 때마다 매번 다시 입력해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