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다보면, 가끔 스마트폰의 화면을 PC에서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스마트폰 화면에 손기름이 묻는 것이 싫다'같은 사소한 이유에서부터, '스마트폰 화면에서 나오는 것을 PC에서 그대로 보고 싶다'같은 이유도 있을 수 있죠. 이러한 생각을 한 것이 꽤 많은 것인지, 시중에 이미 스마트폰의 화면을 PC로 전송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앱이 많이 나와있습니다. 하지만 그 중 상당수가 일부 기능에 결제를 요구하거나 광고를 띄우는 등, 사용자 입장에서 별로 마음에 들지 않는 정책을 갖고 있습니다. 한번 결제하고 끝이라면 또 모를까, 월정액 가입을 요구하는 경우도 존재하죠. 그래서 인터넷의 바다를 조금 뒤져보았습니다. 그 중 '이거 괜찮아보이는데?' 싶은 프로그램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
시작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사용에서 'OEM 잠금해제'의 존재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는 점을 먼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즉, 'OEM 잠금해제'가 있냐 없느냐를 따지는 시점에서 이미 여러분은 커스텀의 길로 접어들었다는 이야기입니다. Odin을 이용해 펌웨어를 플래싱하고 나면 약 일주일 동안 '개발자 옵션'에 'OEM 잠금해제' 항목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 상태에서 다운로드 모드에 진입하면 화면에 KG STATUS: Prenormal 혹은 RMM STATUS: Prenormal이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이 상태에서는 Odin을 통해 커스텀 바이너리를 플래싱 할 수 없습니다. 이 상태에서는 오직 삼성 정식 펌웨어만 플래싱 할 수 있습니다. 이는 KnoxGuard라는, 삼성이 도입한 보안체계 때문입니다. 커스텀..
아마 사람이 살면서 스마트폰의 앱을 가장 많이 지울때는 역시 막 공장초기화를 끝내고 나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항상 지울 앱이 50여개가 넘거든요. 그런데 그걸 일일히 하나하나 설정에 들어가서 지우려니까... 여간 귀찮고 힘든게 아닙니다. 게다가 몇몇 앱들은 삭제가 안되고 오직 비활성화만 됩니다! 그걸 좀 자동화해보고 싶어졌습니다. 무식한 방법으로요. 제일 먼저 필요한 것은 이 글에서 잠깐 소개했던, 패키지명을 알아내는 앱입니다. Package Name을 써도 좋고 Package Name Viewer 2.0을 써도 좋습니다. ADB를 이용해서 단순히 패키지명 리스트만을 뽑아낼 수 있지만, 그러면 그 앱이 무엇을 하는지 모르게 되니까 그 방법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Package Name Viewer 2.0..
스팸 전화는 상당히 귀찮은 존재입니다. 시도 때도 없이 울려대며 귀중한 시간을 낭비하게 만듭니다. 그중에서는 스팸을 넘어 피싱까지 있으니, 스팸 전화의 해로움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습니다. 그래서 그걸 막기 위해 이런저런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후후(WhoWho)'입니다. 전화나 문자가 오면 그 번호가 스팸 번호인지 아닌지 알려주는 앱이죠. 꽤 유용한 앱입니다. 올해 초 삼성의 Galaxy S8+의 Android Pie 펌웨어에서는 아예 삼성 기본 전화 앱에서 '후후'와 통합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옵션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후후'를 쓰지 않는 사람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가령 'T전화'를 사용하면 'T전화'에서 '후후'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전부 제공하므로 굳이 '후후'까지 사용..
특히 삼성 스마트폰처럼 AMOLED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스마트폰을 쓰는 사람은 더 하겠지만, 번인이 여간 신경 쓰이는 게 아닙니다. 특히나 홈 화면에서 검은색 배경화면을 설정했는데 정작 내비게이션 바의 배경색이 흰색이라면...? 굉장히 끔찍한 이야기입니다만, 실제로 그런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흰색이니까 왠지 번인도 잘 생길 것 같아 불안하기도 하지요. 내비게이션 바 배경 색상을 바꾸고 싶은데 그렇게 하려면 루팅을 해야 할 것 같아서 불안해했다면, 괜찮습니다. 다행히도 내비게이션 바의 배경 색상을 바꾸는 데에는 루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각각 커버하는 영역이 차이가 나므로 두 가지 방법 모두 적용하는 것을 적극 추천합니다. ADB를 이용한 설정법 ADB에 다음..
지금도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만, 옛날에는 정말이지 '기본 앱의 홍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기본 앱이 많았습니다. Android OS를 만든 Google이 넣어둔 YouTube를 위시한 Google 앱들에서부터 스마트폰 제조사인 삼성/LG 등이 끼워 넣은 온갖 앱들, 거기다가 통신사까지 자사의 서비스의 홍보와 활성화를 위해 추가한 수많은 기본 앱들... 완벽한 비교는 힘들지만, Android의 기반이 되는 AOSP의 용량과 그것을 갖고 Google, 제조사, 통신사 등이 커스텀한 펌웨어의 용량을 비교해보면 몇 배 수준의 차이를 보입니다. 이 정도면 커스터마이징을 빙자한 끼워 팔기 수준입니다. 다행히도 지금은 몇몇 기본 앱들을 사용자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거, 애당초에 아예 깔리지 ..
이 글에서는 ADB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다운로드 방법, 그리고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ADB는 Android Debug Bridge의 약어로서, Android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다목적 명령줄 도구입니다. 앱 설치, 디버깅 등의 다양한 기기 작업을 쉽게 해 주고 UNIX 셸 액세스도 제공합니다. ADB 다운로드 ADB를 사용하기 위해선 일단 ADB를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예전에는 ADB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Android SDK를 통째로 다운로드하여야 했습니다만, Google에서 ADB만을 따로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정확히는 ADB를 포함한 SDK Platform Tools를 따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곳에 들어가 자신의 플랫폼에 맞는 SDK Platform Tools를 다운로드 합니..
PIVOX
'안드로이드' 태그의 글 목록